![]() |
‘나가사키와 아마쿠사 지방의 잠복 기리시탄 관련 유산’은 기리시탄이 ‘잠복’하는 계기가 된 하라 성터, 무엇을 숭상함으로써 신앙을 실천하고 있었는지를 나타내는 취락, 어떤 장소를 선택하여 공동체를 유지했는지를 나타내는 취락, 전기를 맞이하는 계기가 된 오우라 천주당, ‘잠복’의 종언을 나타내는 에가미 천주당의 12가지 자산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
(Ⅰ) 선교사의 부재와 기리시탄 ‘잠복’의 계기
> 이 단계의 역사(Ⅱ)잠복 기리시탄의 신앙을 실천하기 위한 노력
> 이 단계의 역사-

나가사키현 히라도시
그리스도교가 전해지기 전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었던 산이나 기리시탄이 순교한 섬을 숭상하면서 신앙을 실천한 취락.
-

나가사키현 히라도시
그리스도교가 전해지기 전부터 신앙의 대상이 되었던 산이나 기리시탄이 순교한 섬을 숭상하면서 신앙을 실천한 취락.
-

구마모토현 아마쿠사시
생활 속 주변 물건을 신앙의 도구로써 대용하여 신앙을 실천한 취락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그리스도교에서 유래된 성화상을 몰래 숭상함으로써 신앙을 실천한 취락.
-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신사에 은밀하게 모셔둔 자신들의 신앙의 대상을 숭상함으로써 신앙을 실천한 취락.
(Ⅲ)잠복 기리시탄의 공동체 유지를 위한 노력
> 이 단계의 역사-

나가사키현 사세보시
히라도 번의 목장터를 재개발한 지역으로 개척 이주함으로써 공동체를 유지한 취락.
-

나가사키현 기타마쓰우라군 오지카쵸
신도의 성지였던 섬으로 개척 이주함으로써 공동체를 유지한 취락.
-

나가사키현 미나미마쓰우라군 신카미고토쵸
환자들의 요양지로 사용되었던 섬에 개척 이주함으로써 공동체를 유지한 취락.
-

나가사키현 고토시
고토 번의 정책에 따라 섬의 미개발지에 개척 이주함으로써 공동체를 유지한 취락.
-

나가사키현 고토시
금교기 이주에 의해 취락이 형성되고, 금교령 폐지 후에 ‘잠복’이 끝났음을 가시적으로 나타내는 성당.




























하라 성터
히라도의 성지와 취락
히라도의 성지와 취락
아마쿠사의 사키쓰 취락
소토메의 시쓰 취락
소토메의 오노 취락
구로시마 섬의 취락
노자키지마 섬의 취락터
가시라가시마 섬의 취락
히사카지마 섬의 취락
나루시마 섬의 에가미 취락
오우라 천주당